[스크랩] 조직에 따라 원단분류 (알아두면 좋은 상식)
* 실켓 : 원단 표면을 뜨거운 온도로 살짝 태운 가공으로 원단이 매끌거리며
견고한 조직이 되기에 짱장하며 약간 얇아집니다.
* 기모지 : 원단 표면이 2차 가공을 통해 짧은털이 반듯하게 나있는 상태.
(정식 기모류-벨보아,폴라포리스,알로바等과 강제기모-융等이 있슴.)
* 립직 : 양쪽으로 당기면 아주 작은 골(요철비율이 같으면 1:1립직,
2:1립직으로 부름)이 형성된 원단으로 후라이스로도 불리우며 업체에선
바인딩테입용으로 널리 씁니다.
* 캉캉지 : 낫셀류의 일종으로 일정한 무늬의 요철이 있는 상태로 문양등을
재직한 고급원단.
* 러플러 : 평평한 원단에 스판사를 첨가해 자연스럽게 작은 주름을 잡아준 원단.
* 테리 : 의류용 고급 단면 타올지로서 작은 둥근 실올들이 육안으로 보임.
* TC : T(포리)+C(면)을 섞어서 재직한 원단.
(참고로 T는 포리에스터를 뜻하며 뒤에 붙을때 P로 바뀝니다.
그외 실 성분에 의해 TR(레이온),CP,RP,N(나이론)C,NP등 여러가지로 불림)
* 오간자 : 노방급의 속이 훤히 비치는 아주 얇은 원단.
* 쉬폰 : 치폰이로도 불리우며 하늘하늘하고 실루엣이 살짝 비치는 얇은 원단.
* 보드레 : 실크 촉감의 얇으면서 아주 부드러운 원단.
* 후로킹 : 아주 작은 미세한 입자를 분사시켜 원단 표면에 붙인 특수원단으로
주로 완구용 코등에 많이 볼 수 있습니다.
* 프라다 : 인터록과 듀스포의 합포 원단으로 구김없이 촥 떨어집니다.
(단면폴라포리스+듀스포등 여러가지 변형 프라다가 있습니다.)
* 헤링본 : 짧은 직선을 마치 타어어 바퀴처럼 대비시킨 형태.
* 메란지 : 회색의 메란사로 쨔여진 원단으로 자연스럽고 고급스럽게
울긋불긋하며 메란사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어두운 칼라가 됩니다.
* 피그먼트 : 후염 가공으로 생지급 상태나 지누시(축율 잡는것) 가공이
안된 원단으로 제품을 만든후 원하는 칼라로 염색하는 공정.
(축율 계산해서 대부분이 크게 만든후 후염하면 제품이 거의 축소됨.)